(Bullet time camera) 하나의 바디에 만들어 보자

 

이번에 카메라가 따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나의 바디에 연결시켰다. 기구 설계를 끝내고 3D 프린터 파일을 보낸후 알게된 사실은 3D 프린터의 사이즈가 작아서

3개 이상 만들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는수 없이 3개씪 만들어서 이어 붙이는 방식은 택했으나, 생각치도 못한 또다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3개짜리 블럭의 좌,우 측면의 기울기 및 에지에서 뒤틀림이 미세하게 발생했는데, 이는 고온에서 식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럴때면 3D 프린터의 한계가 느껴집니다.

 

이전 버전의 개별 렌즈 카메라와 별반 차이가 없지만, 결과물을 보면 이전 보다 양호하기는 합니다.

 

 

나중에 기구물만 잘 만든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위안을 삼고 좀더 정교하게 만들기로 했습니다.

 

 

Posted by 이미지쿡

Bullet time 기법 카메라를 좀더 작게 만들수 없을까?

 

훌라후프 봉에 연결해보고 나서 느낀점은 " 너무 크고, 불편하다" 였습니다. 멋진 영상을 만드는 것은 좋은데 휴대가 불편하다면 어떻게 자유롭게 사진을 찍을 수 있나? 하는 반문을 하게 되었고, 그래서 좀더 작게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이정도로 작아진다면 휴대하기도 좋고 쓸만할 것 같은데....

문제는 카메라를 수십개를 집어 넣을 수 있느냐 이며, 동작하는데 무리는 없을까? 이런 저런 걱정이 들었습니다.

 

평소 대로, 문제점은 일단 뒤로하고 작게 만드는것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카메라 렌즈 마운트는 기존것을 활용하고 아크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받침대를 제작하여 그 위에 고정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Raspberry Pi2 보드에 카메라는 1개 밖에 사용할 수 없지만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중인 Multi camera Adapter module fully compatible for official Raspberry Pi A/B/B+ /Pi 2 멀티 카메라 아뎁터를 사용해서 12개까지 동작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구성했습니다. (2017.1.17일 확인해 보니 지금은 시판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네요.) 사용법 및 기능 추후에 Raspberry Pi H/W를 참조 바랍니다.

 

(update) 국내에서도 파는 곳이 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가 45.99$였는데,국내는 6.1만원~7.6만원 사이입니다.( 가치창조기술, 샘플전자 )(제조사는:ArduCam.com을 참조)

 

< 촬영 결과 >

 

원했던 영상은 아래처럼 각 렌즈로 부터 얻은 영상의 높낮이가 균일하고 피사체도 중앙에 위치했을 것이라 판단했는데,

 

렌즈 마운터를 거치대에 꼽을 때 차이가 발생한 다는 것을 알겠되었습니다. 실제 사진은 아래처럼 높낮이가 심하게(?) 차이가 발생하고 사진들도 중앙에 오지 않는 다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그렇다면 카메라 렌즈 역시 기구물에 견고하게 고정 되어야 하는 걸까?

다음번엔 기구물이 하나의 몸체로 된 형태로 다시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Posted by 이미지쿡

Bullet time 기법을 적용한 라즈베리파이 카메라 만들기

 

영화 메트릭스에서 나온 Frozen moment( Bullet Time,Time slice) 기법에 대한 자료를 찾다가 잘 정리해 놓은 회사를 알겠되었습니다. digitalair라는 회사인데 관련된 자료와 원리를 알차게 설명해 놓고 있습니다. 80개의 렌즈를 사용해서 66도 아크의 3m짜리 다시점 카메라를 만들고 피사체 대상은 약 2.5m에 놓고 촬영하는 방식을 택한것 같습니다.

 

Timetrack™ Time Slice modeTimetrack™ Time Slice mode

 

 

즉, 80프레임으로 인상적인 영상을 만들어 낸것이 놀라웠습니다. 초당 60 프레임  60fps) 짜리 동영상을 만든다면, 1.3초 정도 영상이 될텐데 위의 동영상을 보면 6초짜리 멋진 영상으로 편집됩니다. 일종에 얼음효과(?)인데, 이장면을 볼때 마다 감동과 전율이 느껴집니다.

 

설치된 거대한(?) 장치에 비하면 보잘것 없는 영상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2001년에 만들어진것 치고는(영화 메트릭스가 1999년 개봉) 대단히 멋진인것 같습니다.

 

문제는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고 전문가들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직접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기존에 만든 RaspberryPi camera들을 훌라후프 플라스틱 봉을 잘라서 아크 기구물로 할용하고 그 위에 연결해 보았습니다.

 

 

막상 연결해 놓고 보니,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ㅠ.ㅜ

 

1) 카메라를 플라스틱 봉에 고정이 쉽지 않았습니다. 기구설계 당시 옷 걸어 두는 행거(쇠봉)에 맞게 마운트에 맞췄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서 덜렁거렸습니다.

(종이박스를 잘서서 삽입후 임시 조치)

 

2)훌라후프 플라스틱봉이 연성이 높아 휘어졌습니다. 이는 카메라 높이를 맞추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크형 거치대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은 추후에 해결하는 것으로 하고, 일단 여려 형태로 카메라를 연결(가로 또는 세로)하면서 추가 적인 문제점을 확인했습니다.

 

 

추가로 발견된 것중, 가장 먼서 해결해야 할 부분은 개별로 동작하는 카메라를 동시에 동작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치 않을 경우 Frozen time 기법으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Raspberry Pi GPIO를 이용해서 카메라에 셔터 스위치를 연결하려고 했는데, 포기했습니다. 동시에 연결시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Bluetooth나 Direct WiFi를 통해서 해결하는 방향으로 결정했습니다.

Posted by 이미지쿡

DIY 라즈베리파이 카메라 만들기

 

https://www.raspberrypi.org/learning/getting-started-with-picamera/worksheet/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 워낙 잘 정리가 되어 있을뿐 아니라, 관련 자료가 많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단순 보드 상태가 아니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참고한 사이트는 adafruit이며 ( DIY WiFi Raspberry Pi Touchscreen Camera )

워낙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따라하기만 하면 저절로(?) 됩니다.

(2014.1.14) 처음 만들어 본것은 아래 카메라 입니다만, 케이스가 없어서 좀 없어 보입니다.

 

 

 

(2015.1.28) 케이스가 있는 파이 카메라가 나옵니다.

 

 

문제는 케이스를 만들려면 3D 프린터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많은 자료 조사후에 3D 프린터를 구입했습니다.

 

기종은 Up Plus2 입니다. 2년정도 사용하고 있는데, 대단히 만족하는 기종이며,

아쉬운것이 있다면 필라멘트가 좀 비쌉니다. 그리고 밀패된 곳에서 하면 ABS라 냄새도 나구요. 그래도 결과물이 좋으니 다 용서가 되는군요..

 

 

 

이걸 사용하기 위해서 기구 설계는 필수인지라 구글 SketchUp을 무려 1개월동안열심히 공부 했습니다. ㅠ.ㅜ (솔직히 이부분은 피할 수 없습니다.)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강의만 들어도 충분합니다.

추천하는 강의는 "부지런한소"라는 분이 올린 56편의 동영상 강의 입니다. 하루에 2개정도 듣고 따라하면 1개 이내에 모두 끝낼 수 있습니다.

 

3D 도면은 Thingiverse 에 가면 모두 올라와 있습니다.

무료 기구 설계 툴을 만든 구굴과 무료 동상강 강의를 올려주신 "부지런한소"님

그리고 무료로 3D 파일을 올려 놓으신 분들과 함께 공유 할 수 있는 Thingiverse 에

무조건 감사드립니다.

 

Thingiverse 에서 "DIY WiFi Raspberry Pi Touchscreen Camera "로 검색하면 3D 프린터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STL 파일이 있습니다.

 

 

두번째 케이스인 "Touch Pi : Portable Raspberry Pi A+" 도 올라와 있습니다.

그냥 다운 받아서 3D 프린터에 넣기만 하면 동작하니 간단합니다만, STL 파일을 수정하려면 구글 SketchUp을 배울수 밖에 없습니다.

처음엔 어렵지만 지금은 잘 사용하고 있어서 만족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만든 케이스들은 단품으로서는 가치가 있는데, 카메라 렌즈가 고정되어 있어 셀카등은 촬영이 어렵습니다. 수정을 위해 원본 STL 파일을 직접 변경하기로 하고 설계를 시작했습니다.

 

Raspberry Pi camera 모듈을 라즈베리파이 HDMI 소켓에 고정할 수 있도록  카메라 마운트 수정해서 만들고, 라즈베리파이 보드 케이스도 아래 처럼 새로 만듭니다.

 

 

완성된 RPi2 보드로 만든 셀카입니다.

 

라즈베리파이2 보드를 사용해서 잘 동작하는 것까지는 확인 했고, 카메라 렌즈의 방향을 쉽게 바꿀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시켜 놓았습니다. 처음으로 만든 라즈베리파이 카메라중 최초(?)의 셀카 겸용 카메라입니다. ^^

 

하지만 고프로의 액션캠 처럼 자전거나 다른 어딘가에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여러대의 카메라를 만들기에는 라즈베리파이2 보다가 비싸기도 하여, Raspberry Pi A+ 보드를 사용하여 다시 만들기로 했습니다.

 

기존 STL 파일을 부분적으로 변경합니다.

(기존) Raspberry Pi A+ Bottem case

 

(변경) Raspberry Pi A+ Bottem case

(추가) Gopro용 mount와 Knob도 설계후 3D 프린터로 전송합니다.

 

 

제작된 실물

 

 

자.. 이제 이렇게 여러대의 카메라를 만든후 카메라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러가지 Testing을 합니다.

 

생각보다 LCD 불량이 많네요.. ㅠ.ㅜ

 

 

Posted by 이미지쿡

Raspberry Pi Camera Module SPEC



우선 라즈베리 파이 카메라를 만들기 전에 카메라 렌즈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봐야 합니다. 그래야 추후에 응용할때, (특히, VR카메라나 3D 카메라를 만들경우) 다양한 활용이 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나름 공부해서 이해한 내용이므로 틀릴수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016년 4월에 시판된 V2.1 Technicla Parameter를 살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http://elinux.org/Rpi_Camera_Module 을 참조 바랍니.)


Technical Parameters (v.2 board)

  • Sensor type: Sony IMX219PQ[7] Color CMOS 8-megapixel
  • Sensor size: 3.674 x 2.760 mm (1/4" format)
  • Pixel Count: 3280 x 2464 (active pixels) 3296 x 2512 (total pixels)
  • Pixel Size: 1.12 x 1.12 um
  • Lens: f=3.04 mm, f/2.0
  • Angle of View: 62.2 x 48.8 degrees
  • Full-frame SLR lens equivalent: 29 mm
  • Video Modes:
  • 1 - 1080P30 cropped (680 pixels off left/right, 692 pixels off top/bottom), up to 30fps
  • 2 - 3240x2464 Full 4:3, up to 15fps
  • 3 - 3240x2464 Full 4:3, up to 15fps (identical to 2)
  • 4 - 1640x1232 binned 4:3, up 40fps
  • 5 - 1640x922 2x2 binned 16:9 (310 px crop T/B before binning), up to 40fps
  • 6 - 720P bin+crop (360 px L/R, 512 px T/B before binning), 40..90fps (OC: 120fps)
  • 7 - VGA bin+crop (1000 px L/R, 752 px T/B before binning), 40..90fps (OC: 120fps)
  • Board size: 25 x 23.86 x 9mm
  • Mounting Holes: 4x D=2.20 mm on 12.5 x 21.0 mm centers

References: Semi-official v.2 thread:[7] Sony IMX219 product brief:[8] Crypto chip:[9]

 


 

순서대로 확인해 보면...


(1)Sensor type : Sony IMX219PQ Color CMOS 8-megapixel

 

Color CMOS 8M Pixel로 사진 한장에 잡히는 화소수가 800만개라는 의미입니다. 좀 더 쉽게 생각해 보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모니터의 해상도인 Full HD 화질이 1920 * 1080 이니까 약 200만개(2M)이고 Full HD 보다 4배 화소수가 많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요즘 자주 나오는 4K 해상도 ( 4096 * 2160 또는 3840 * 2160)은 계산해 보면 약8.8M (8847만개) ~ 8M 라고 보면 800만 화소수는 4k의 해상도를 촬영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이미지 센서에 들어가는 화소수라 모니터 해상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만 의미는 같을 것 같습니다.


더 쉽게 이해한다면, 아래 비교 사진처럼 같은 사진이지만 확대 했을 경우 선명도가 다르므로 동일 모니터에서 보면 화질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camera Megapixel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어찌되었든, 8M 정도면 훌륭한데? 이런 생각이 든 다면 잠시 접어 두셔야 합니다.

왜냐면...



(2)Sensor Size :3.674 X 2.760 mm (1/4" format)


라즈베리파이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사실 화소수가 중요하긴 합니다만, 사진 전문가라면 같은 800만개 화소수라면 센서 사이즈가 더 큰 것을 원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센서 크기에 따라 활영할 수 있는 빛의 양을 결정하기 때문에 더욱 세부적이고 정확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어서 입니다. (http://www.itworld.co.kr/news/89083)


아이폰7에 들어가는 센서 사이즈가 12M(1200만 화소)에 1/3인치 크기 이므로

스마트폰 센서 보다 작고, 아래 그림을 보면 쌀알(?) 보다 작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즉 800만 화소니까 쓸만하네!!!가 아니고, 센서 사이즈가 엄청 작군!!! 사진 Quality가 나쁘겠는걸... 이런 생각이듭니다. 면적이 10.1mm^2 정도이니 아이폰 7의 15mm^2에 비해 약 0.7배 수준입니다.


특히, 아래 그림중 가장 큰 사이즈인 1:1 format Full frame (35mm 필름)의 경우

36mm x 24mm = 85mm^2이므로 무려 85.2배나 작습니다. 즉 동일한 실력의 전문가가 촬영한다면 무려 85배나 나쁜 사진이 나올 가능성이 있는 수준이군요..

(아래 사진 그대로 표현하면 쌀알과 5백원의 가치 비교가 맞는 표현인듯합니다.)


이미지센서 크기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링크) : http://sonkarak.tistory.com/entry/디지털카메라-이미지센서CCD-CMOS크기비교


참고로 위의 사진중 35mm 필름에 표기된 붉은색선이 36mm이고 파란색이 24mm이며, 연두선이 35mm라고 합니다. 35mm 필름이라고 하는지 이제야 알겠습니다.



(3) Pixel Count: 3280 x 2464 (active pixels) 3296 x 2512 (total pixels)

Active pixels: 3280 x 2464 = 8081920개, Total pixels: 3296 x 2512 = 8279552개로 표시한것 같은데, 굳이 Active와 Total로 나누어 표현한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중요하지 않은것 같으므로 패스...



(4) Pixel Size: 1.12 x 1.12 um


Google Pixel폰이 12.3M 픽셀, 1/2.3인치 이미지센서 크기에 픽셀 사이즈가 1.55um이므로 순수하게 픽셀 사이즈로만 보면 더 작군요. 위의 Active pixels(3280 x 1.12um, 2464 x 1.12um ) =  (3.67mm x 2.76 mm) = 10.13mm^2로  센서 사이즈와 동일하게 계산이 됩니다.



(5) Lens: f=3.04 mm, f/2.0

촛점거리(focal Length : f ) = 3.04mm의 의미는 렌즈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즉 상의 촛점이 센서에 맺히는 거리를 의미하며, 위에서 설명한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1/4" 로 대단히 작아서 렌즈와 거리가 가까워야 합니다. (참조 : http://cafe.naver.com/houdinistudio/4677 ) 즉, 3.04mm가 촛점 거리입니다.

아이폰7 focal length = 3.9mm이므로 약 1mm 정도 작습니다. 아이폰에서는 두개의 렌즈를 사용하는데 일반 카메라의 28mm(와이드앵글렌즈)와 56mm(tele lens) 초첨거리 효과를 내며, DSLR처럼 아웃 포커스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그런 효과가 나는지는 공부해봐야 겠습니다.)

 

Focal Length(촛점거리)는 나중에 open cv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mera Calibration)을 이해 하는데 필요하므로 잘 기억해 두고 있습니다.(참조: 다크 프로그래머)


 



f/2.0은 Focal Ratio = Focal Length / Lens Aperture의 의미 입니다. f값이 작은 것은 빛의 양이 많아 상이 밝아서 촬영 노출 시간을 줄일수 있다고 되어있다. (http://blog.naver.com/ronation/220134251526)

 

 

 

역으로 환산해서 계산해 보면, 2(Focal Ratio)= 3.04mm / Lens Aperture 이므로

Lens Aperture = 1.52mm로 기존의 5MP 렌즈 diameter = 1.25mm 보다 다소 커진것을 의미합니다. ( 5MP 렌즈:Focal Length 3.6mm / Lens Aperture 1.25 mm = f/2.9) 

 

참고로 아이폰7이 F/1.9라고 되어 있으니 거의 스마트폰 사이즈이군요

 

 



http://2.bp.blogspot.com/-A2PXFQoZ8rU/UYsAU2B5FVI/AAAAAAAAANg/ob3bqv94hPA/s1600/lens-part.jpg


(6) Angle of View: 62.2 x 48.8 degrees

 

8MP 렌즈의 화각(Angle 0f view)이 62.2도(Horizental Angle of View)이고 48.8도(Vertical Angle of View)입니다. 이는 화면을 4.3 aspect ratio(종횡비)로 놓았을때의 기준이며, 이전 5MP 렌즈는 54도(Horizental Angle of View), 41도(Vertical Angle of View)이고 대각선 화각(Digonal FOV)은 65도 이므로 화각이 8도 정도 커진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www.truetex.com/raspberrypi )

 

중요한 것은 Full HD급 동영상을 촬영할 때는 사진 보다 화각이 줄어 듭니다.

이유는  "8MP 센서는 binning을 통해 1080p의 해상도가 나오지 않음으로서 센서에서 1:1로 픽셀을 뽑아온다. 그러므로 화각이 줄어든다." 입니다. 상세한 것은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감광도를 높이기 위해 아래 처럼 3*3이든 2*2든 binning시 화소수가 부족하여 1:1로 뽑아와서 그렇게 된다고 합니다.

 

<겔럭시 S2의 사례 적용 참조 - 2011.9.2 작성 - 위의 링크 >

1080p1920*1080 (= 2,073,600 화소)이나 아래처럼 1640 밖에 만들지 못함 

2*2 Binning시 (3280/2) * (2464/2) = 1640 * 1232 = 2,020,480 ; 808192 pixel

3*3 Binning시 (3280/3) * (2464/3) = 1093 * 821 = 897,991      ; 808192 pixel

 

따라서, 아래 왠쪽 그림처럼 녹색부분은 사진 촬영시 화각이 되고 동영상 촬영시 화각은 작을 수 밖에 없습니다.

 

 

 

(7) Full-frame SLR lens equivalent: 29 mm


결국 카메라 특성은 사진 촬영시 62.2도의 화각(Angle of View)를 갖으며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29mm 렌즈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표기 되어있습니다. 분류표를 보니 60도까지는 wide Angle에 속합니다.

 

 

focal length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8) Video Modes:

 

   1) 1080P30 cropped (680 pixels off left/right, 692 pixels off top/bottom), up to 30fps

   2) 3240x2464 Full 4:3, up to 15fps

   3) 3240x2464 Full 4:3, up to 15fps (identical to 2)

   4) 1640x1232 binned 4:3, up 40fps

   5) 1640x922 2x2 binned 16:9 (310 px crop T/B before binning), up to 40fps

   6) 720P bin+crop (360 px L/R, 512 px T/B before binning), 40..90fps (OC: 120fps)

   7) VGA bin+crop (1000 px L/R, 752 px T/B before binning), 40..90fps (OC: 120fps)


1) 동영상 촬영의 경우1920 x 1080p의 경우 30fps로 그다지 좋다고 할 수 없군요. 고해상도로 갈 수록 fps가 작아저서 동영상으로서의 가치기 떨어집니다.

 

끊김없이 부드러운 화질은 30fps정도면 어느 정도 커버가 되지만 아이폰6의 1920 x 1080(full HD) 60fps에 절반 수준입니다. 아이폰7에 적용된 3840 x 2160 (4k) 30fps에 비하면 한참 낮은 스팩이라 다소 실망 스럽긴 합니다.

 

5)항목에 보면, 2X2 binning을 통해 16:9의 40fps 이상의 화질이 촬영가능하기 하지만 여전히 1920 x 1080p 보다는 낮습니다.

 

6),7) 항목을 보면 최대 120fps까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화질을 포기한다면 고속 촬용도 가능해 보입니다. 소니 사이트에 방문하면( Sony IMX219 ) 180p까지 적용해서 슬로우모션으로 촬영한 결과가 있습니다. 꽤 쓸만해 보입니다.

 

 

5MP vs 8MPS의 전반 적인 SPEC 비교시 아래표와 같습니다.

 

Camera Module v1.3

Camera Module v2.1

Net price

$25

$25

Size

Around 25 × 24 × 9 mm

25 × 23.86 × 9 mm

Weight

3g

Still resolution

5 Megapixels

8 Megapixels

Video modes

1080p30, 720p60 and 640 × 480p60/90

1080p30, 720p60 and 640 × 480p60/90

Linux integration

V4L2 driver available

V4L2 driver available

C programming API

OpenMAX IL and others available

OpenMAX IL and others available

Sensor

OmniVision OV5647

Sony IMX219

Sensor resolution

2592 × 1944 pixels

3280 × 2464 pixels

Sensor image area

3.76 × 2.74 mm

3.674× 2.76 mm

Pixel size

1.4 µm × 1.4 µm

1.2 µm × 1.2 µm

Optical size

1/4"

1/4"

Full-frame SLR lens equivalent

35 mm

29 mm

S/N ratio

36 dB

Dynamic range

67 dB @ 8x gain

Sensitivity

680 mV/lux-sec

Dark current

16 mV/sec @ 60 C

Well capacity

4.3 Ke-

Fixed focus

1 m to infinity

Focal length

3.60 mm +/- 0.01

3.04 mm +/- 0.01

Horizontal field of view

53.50 +/- 0.13 degrees

62.2 +/- 0.13 degrees

Vertical field of view

41.41 +/- 0.11 degrees

48.8 +/- 0.11 degrees

Focal ratio (F-Stop)

2.9

2.0

 

 

< 화질 비교 >

Same scene shot with all 4 Pi cameras

Posted by 이미지쿡

Stephen Wilkes: The passing of time, caught in a single photo(2016)

(12:27초 강연)



15~30시간 동일한 장소에서 사진 1500장을 촬영하여 한달여간의 작업후 1장으로 표현합니다. 한장의 사진 안에서 시간을 압축하고 시공간의 연속성을 탁샘하는 새로운 방식을 선보입니다.


연사의 말을 빌리자면,

"사진술과 기술이 함께 진화하면서 사진은 시간과 기억의 더 깊은 의미를 전하고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새롭게 서술하여 우리의 세계로 향하는,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창을 낼 것입니다.."


"낮에서 밤으로" 라는 개념은 기존 Time slice 기법과 같은 것 같아서 자세히 들어 보지 않은 강연이였는데, 들어 보니 사진 한장에 이야기의 변화를 모두 담자!는 것입니다. 마치 동영상을 1장에 압축한것이라고 할까요?


연사는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진을 창조하고 싶다는 순수한 열정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사진은 시간의 파편 안에 정지된 순간의 기록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순간 또는 사진은 시간이 지나면서 분명히 존재하는 기억의 조각을 대표합니다. 하지만 하나의 사진 안에 둘 이상의 순간을 포학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 중략...


그것이 여러분들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바꿀것이라 믿습니다."





(링크 : https://www.ted.com/talks/stephen_wilkes_the_passing_of_time_caught_in_a_single_photo )



Posted by 이미지쿡

Photos that changed the world

 

약간 무서운(?) 사진들이 나오긴 합니다..^^;;;

심장 약하신 분들은 않보시는게...

 

그래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많큼은 좋습니다.

 

잠시 연사의 말을 들어 볼까요?

 

사진을 찍는 사람들은 사진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맞아요. 저희가 좀 순진하고 발랄합니다. 우리가 아는 진실은 사진 자체가 세상을 바꾸는 것은 아니지만 사진술이 생긴 이후 지금까지사진은 사람들을 반응하게 했고, 그 반응은 변화의 원천이 되어왔습니다. .....

 

 

 

Posted by 이미지쿡

A father-daughter bond, one photo at a time

(3분 38초 강연)

 

아버지가 1살짜리 딸과 함께 사진을 찍습니다. 매년 같은 장소에서 1년마다 사진을 찍는데, 총 15장의 사진이 모였을 때, 감동적인 이야기와 추억이 탄생합니다. 

 

사진이 어떻게 아버지와 딸을 감정적으로 강하게 연결 시키는지 잘 설명해 줍니다.

 

저도 따라하면서 3년 정도는 찍었는데..

계속 더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잠시 연사의 말을 들어 볼까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추억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의식적으로 추억을 만들어내는 능동적인 행동들에 대한 아이디어를 함께 공유하고 싶습니다.


저는 여러분들에게 대해서 잘 모릅니다만, 이 15장의 사진을 빼고 저는 가족하진에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저는 항상 사진을 찍는 사람이었으니까요. 그래서 오늘 여러분들도 이런 사진을 찍어 보기를 바랍니다."

  


Posted by 이미지쿡

첫 TED 강연을 접했을 떄 강연수가 1000개 이하였습니다.

지금은(2017.1월 기준) 2323개가 있으니 두배 이상 늘었습니다.

 

첫번째 시도로 사진에 관련된 것들만 우선 선별해 볼까 합니다.

총 42명의 연사와 160편의 강의가 있군요

 

왜? 사진을 찍고 공유 하는가?

사진은 세상과 인간에게 어떤 의미 인가?

 

이것에 대한 답을 알게된다면, 더 좋은 카메라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by 이미지쿡

Posted by 이미지쿡
Henri de Toulouse Lautrec Documentary - feat. Waldemar Januszczak (2 of 2)

 

 

게시일: 2016. 10. 14.( By Barry White )

Probably the finest documentary on Lautrec to date. Januszczack at his very best! Check out my channel for many other art documentaries.
Part 1 here: https://www.youtube.com/watch?v=08bJZ...

For research only - no copyright claimed. More:

For further research/reading, I highly recommend "Toulouse Lautrec: a definitive biography" by Henri Perruchot. It's an older biography, but is yet to be surpassed in content and readability.

 

 

Posted by 이미지쿡
이전버튼 1 2 3 4 5 6 7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Raspberry pi 카메라로 영화 매트릭스 처럼 촬영하기
이미지쿡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